0

밥도둑 장조림

IMG_0810.JPG

밥도둑이라는 장조림 이 자식, 밥만 훔치는 게 아니었다. 금쪽같은 시간도 깜쪽같이 훔쳐간다. 주부 경력 5년 만에 장조림은 왜 큰 맘 먹고 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장장 3시간을 매달려서 한 게 바로 사진 속 장조림이다. 국물에 밥 말아먹는 게 좋아서 국물을 좀 넉넉하게 잡고 한 게 화근이었다. 졸이는 데 엄청 오래 걸렸다. 게다가 국간장 비율을 높였더니 아무래도 색이 좀 덜 까맣다. 흑. 윤기 좔좔 흐르는 검은 장조림을 기대했는데… 삶은 계란도 넣었다가 터져서 노른자도 좀 둥둥 떠다닌다. 사진은 거시기하지만 맛은 뭐 그럭저럭 괜찮다. 고깃국물인데 맛이 없어봤자지… 사람도 그렇지만 음식은 외모보다 속이 중요하다(고 굳게 믿고 싶다).

여기저기서 레시피를 많이 찾아봤는데 결국 중요한 건 1.고기 핏물 빼기, 2. 육수 내기, 3. 간장 넣고 졸이기였다. 육수는 레시피마다 다 달랐다. 나는야 제대로 요리하는 뇨자니까 육수도 맘 먹고 냈다. 고기는 ‘장조림용’이라고 써 있는 걸 한인마트에서 샀다. 고기 누린내를 잡는 데 의외로 커피가 좋대서 커피 알갱이를 살짝 탄 물에 30분 이상 담가놨다. 끓일 때도 커피는 조금 넣어줬다. 핏물을 오래 빼서 그런지 거품이 덜 일었다.

육수를 우릴 때는 물, 청주, 찬 물에 담가놨던 다시마와, 파뿌리, 대파, 양파, 생강청 만들어 놨던 생강 건더기를 넣었다. 설탕도 조금 넣는다고 하던데 (우리 엄마도 말씀하셨지. 짠 거에는 단 거 조금 단 거에는 짠 거 조금 넣으면 맛이 살아난다고.) 생강청 국물을 조금 넣는 것으로 갈음했다. 언젠가 본 요리책에서 다시마는 끓이면 지저분한 거품이 난다고 했으므로 찬 물에 오래 담가놨던 걸 썼고, 그래도 뭔가 아쉬워서 육수 끓일 때 살짝 끓이다가 곧 건져냈다. 제일 중요한 쇠고기 빼고 사실 나머지 부재료도 레시피마다 각양각색이었다. 결국 자기 마음이다. 나는 고기만 먹지 말자 싶어서 부재료로 삶은 계란, 꽈리 고추, 새송이 버섯을 선택했다. 통마늘도 넣고 싶었는데… 없어서 포기했다.

처음부터 간장 국물에 고기를 넣고 끓이면 단백질이 응고되면서 고기에 양념이 잘 안 밴다고 해서 육수를 내고 고기는 건져서 한 김 식혔다. 고기를 손으로 찢다가 아무래도 잘 안 찢어져서 결국 칼로 썰었다. 왜 이리 질길까 그때부터 걱정했는데 아니나다를까 결과물도 질기다. 고기를 식히는 동안에 간장 국물에 나머지 부재료를 넣고 끓였다. 부재료를 20~30분 졸이고 고기를 넣고 한 10~15분 더 끓이라는데 나는 좀 더 끓였다. 그래도 고기가 질기다. (흠. 그래’도’가 아니라 그래’서’ 고기가 질긴 건가?-_-)

동생이 좋아해서 장조림 해달라고 엄마를 조르곤 했는데 그때마다 왜 엄마가 그렇게 난감한 표정을 지었는지 잘 알겠다. 장조림은 시간 도둑이었다. 그래도 해놓고 나니 부자 된 기분이다. 확실히 남편 도시락을 싸게 되면서 요리를 (주로 밑반찬류를) 많이 하게 되는데, 힘들지만 보람은 있다. 다만 너무 순식간에 사라진다는 게 좀 슬플 뿐. 여러분, 장조림은 주부의 사랑입니다. 잊지 마세요.

덧 1. 실은 어깨와 목이 매우 아픈데도(!) 언제나처럼 숙제와 번역일이 많은데도(!) 급한 불만 꺼놓고 큰맘 먹고 한 거다. 며칠 전에 사놓은 고기가 냉장고에서 검게 변하고 있어서 더 이상 미룰 수가 없었다.

덧 2. 초딩 입맛 우리 신랑, 의외로 나물은 잘 먹는다. 그래서 도시락으로 나물을 주로 싸줘도 별 말 안 하고 먹어서 기뻤다. 그런데 얼마 전 장 보러 갔을 때 소시지를 잡고 놓질 않더라. 몸에 안 좋다고 웬만하면 먹지 말라고 해도 그런 편견(!)을 버리라며 단백질을 보충한답시고 굳이 소시지를 샀다. 차라리 제육볶음이나 장조림을 싸주겠다고 달래 보았지만 무리였다. 하지만 괜찮다. 남편군은 요리를 좀처럼 안 하니까. 그리고 도시락은 내가 싸니까. 소시지는 어짜피 나 없을 때 실컷 먹을 테니 나는 절대 싸주지 않겠어. 움화화화홧. 장조림으로 퉁쳐 봐야지.

0

Good enough is almost always good enough.

IMG_0806.PNG

I recently read an article on WSJ titled “How You Make Decisions Says a Lot About How Happy You Are.” It was a good read and very relieving. The part I particularly liked was the words of a psychology professor: “One of the things that life teaches you is that ‘good enough’ is almost always good enough.”

The gist of the article is that there are two types of people when it comes to decision making: A satisficer, a person who quickly opts for a good-enough option, and a maximizer, who goes over different options very thoroughly. As you may have correctly guessed, the article said that a satisficer is happier than a maximizer. (Obviously, “satisficer” is a term derived from the word “satisfice, ” a mixture of satisfy and suffice.)

What are you of the two? Me? Let’s just say that it would be an understatement if I said that I rather am a maximizer than a satisficer. In fact, it can’t be further from the truth: I tend to weigh in every option on the table from simple purchase decisions like should-I-buy-an-iPad Air-or-an-iPad Mini to life-changing ones like am-I-ready-for-a-baby or what-should-I-pursue-as-my-lifetime-career. If it were a few years ago, I’d argue that the happiness of a maximizer comes from the very process of mulling over–though it may seem agonizing to others. However, I know better now (that I’m older): I am now a recovering maximizer and an aspiring satisficer.

How about you? Send me your thoughts.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or want to find more about the two types of decision makers, here’s the link to the full article:
http://m.wsj.com/articles/how-you-make-decisions-says-a-lot-about-how-happy-you-are-1412614997?mobile=y

2

개구리 반찬~~

IMG_0041.JPG
요새 도시락을 싼다. 신랑이 드디어 연구실을 잡아서다. (안타깝게도 아직 학비 지원을 받진 못한다. 음. 그래도 오랜 동안 고민하고 힘들어하더니 연구실을 잡아서 다행이다. 괘..괜찮다. 내가 자, 어서 나를 부양해.라고 신랑만 바라보는 사람은 아니니까. 물론 요새는 좀 그래줘도 되는데 싶긴 하다. 아니 부양은 괜찮으니 학비라도 어떻게 좀…)

요새,라고 해봤자 실은 겨우 한 번 쌌다. 물론 지난 학기에도 가끔 싸주긴 했지만 주로 샌드위치였고 밥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실은 월요일부터 나갔는데 첫 날은 내가 눈만 겨우 뜨고 나가는 거 누운 채로 인사만 하고 보내서 (낮밤이 뒤바뀌어서 거의 한국 시간대로 산다) 도시락은 생각도 못했고, 화요일에는 싸간 도시락 통을 안 가져와서 (게다가 내가 아침에 일어나지 못해서) 오늘은 싸가지 않았다. 내일은 나도 아침부터 약속이 있어서 틀림없이 바쁠 테니 미리 싸뒀다. 밥만 퍼가라고 해야지.

그래서 한밤중에 또 나물을 무쳤다. 한 친구는 나보고 한국에서도 안 해 먹는 나물을 미국에 가서까지 하냐고 하지만 정말 나물은 없어서 못 먹는다. 뭐 말이 그렇지, LA 한인마트는 거의 이마트 수준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조리된 거도 구할 수 있다. 그래도 나는 집에서 만든 나물이 좋다. 할머니가 엄마가 해주던 그 맛. 그리고 특이한 나물이 좋다. 뭐 그래서 손이 많이 가지만 또 조물조물 무친다. 다행히 집에 쟁여놓은 건나물이 있다. 3월에 잠깐 서울 갔을 때 친구가 정성스레 챙겨준 건나물(나물 먹고 싶다는 내 말을 기억하고는 만날 때 큰 봉지에 나물 여러 개를 모아줬다. 어찌나 감동스러웠는지)이 여러 개 있다. 그 중 다래순나물(이건 나도 친구 덕에 처음 봤다.)이다.

IMG_0044.JPG

IMG_0042.JPG
맛은 상당히 부드럽다. 들기름으로 무쳐서 더 향긋하다. 그리고 들깨도 뿌렸다. (그렇습니다. 다 있어요. 여기 한인마트서 샀지요.)

그리고 다른 하나는 엄마가 준 울릉도 취나물.

IMG_0043.JPG

(아무래도 봉지 속 사진은 생 취나물을 찍은 게 틀림없다. 사기여 저건.) 보통 아린 맛을 없애고 부드럽게 하려고 만 하루 이상 담가 놓는데 한 시간만 담갔더니 확실히 조금 떫다.

두 나물은 조리 과정이 대동소이하다. 맛은 상당히 다르다. 취나물을 아주 좋아하긴 하지만 다래순나물이 진짜 부드럽고 맛있다.

나머지는 미리 해놨던 거다. 사실 밑반찬을 아주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주부, 특히 도시락 싸는 주부에게 왜 밑반찬이 소중한 건지 너무 잘 알겠다. 다행히 남편이 밑반찬도 좋아한다. 휴.

엄마가 늘 도시락 반찬 때문에 고민하곤 했었는데, 그 마음을 조금 알 것도 같다. 고작 2번 쌌는데도 무슨 반찬을 싸야 될지 벌써부터 고민이 된다. 그러면서도 무슨 마음인지 도시락을 좀 싸 갔음 싶다. 현모양처 코스프레인가? 음… 그보다는 싫다는 아들 건강식을 먹이기 위한 엄마의 마음에 가깝다. 막상 남편은 사 먹는 걸 (햄버거 및 패스트푸드–이제 몸 생각하실 나이십니다-_-) 더 좋아하니까 큰 부담은 없다. 안 싸가면 좋아라 다른 거 먹겠지.

얼마나 갈지 모르겠지만 어쨌던 일단 오늘 도시락 미션 성공! 아울러 블로그 포스팅도 성공! ㅎㅎ (바뀐 아이폰 자판 덕에 폰에서 쓴 글이다.) 이제 자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