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Three Golden Rules

Without preamble, I present you our family’s golden rules:

1. I treat myself and others with love, respect, and kindness.

2. My words are based on the Four Pillars of Speech – Is it true? Is it kind? Is it necessary? Is it helpful?

3. We are the choices we make. Is this a good choice? Determine an action’s priority by its Impact. Is it the right Time? Place, and Occasion (TPO)?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my choice (CC)?

If I were to add a fourth, it would be, as Elsa has famously said, to “let it go.”

Let me go back a little. Today was another typical day with my daughter’s tantrum. It seems like her daily tantrums have been reaching new heights. What was not typical about today, however, is that today’s the eve of our long awaited trip to Korea. (In five and half years!!)

I see chaos around me. (Well, more than usual. LOL.) I’m still packing, rooms are messy, dirty dishes are stacked up in (and outside) the sink, you know the drill. Nevertheless, I decided to have a chat with her. It wasn’t that I hadn’t tried. I’ve had many chats with my daughter about how her words and actions were not appropriate and had been hurting my feelings. On one occasion, I even shed some tears while at it. But this time, I decided to set some simple rules so that she could align her actions. We tried setting some other rules before. It didn’t work. Too many. Too complex. The rules were short-lived because they weren’t reinforced on a daily basis. So this time I tried to simplify them so that we could all remember them better.

I’m not sure whether I should be writing this post right now. Nevertheless, I am taking time to write this post. Lately, I’ve been focusing too much on what’s urgent. It’s been days that I haven’t slept properly. Working on what, you say? As usual, the never-ending list of tasks. Wrapping things up for the nonprofit I work for, coping with the many tasks that entailed with the end of my daughter’s school year, catching up on housework. Not to mention prepping for this trip. I am reclaiming my time and space for a little me-time. I am quite satisfied to have the tasks written down.

As I type this, I hear my daughter burst into tears. (Sigh.) I write a little more, holding my ground. Thankfully, she’s calmed down on her own. But she is calling me. “Mommy, can you please come?” She’s asking it nicely. Ok, back to reality! So long!

0

Why Do I Love Thee

For days, Sia kept singing a song that she learned from school. It goes like this:

“My mommy is the best-

The best there ever was.

And I love her just because-”

Then she went on with all sorts of reasons. That line changes every time she sings the song. A couple of days ago, it was because I take her to places like camping (an inside joke because we have never done an overnight camping trip). Today it was “She makes me everything I want to eat.”

I do make healthy homemade meals. Yesterday she had oxtail soup for dinner (truly a labor of love) and today her breakfast was a piece of homemade sourdough sausage bread. Bread and sausage, what not to like?

See for yourself! Don’t they look yummy?

I also sang in response:

“My daughter is the best. The best there ever was. And I love her just because-”

She walked up to me and blurted out, “I hate myself.”

My heart skipped a bit, but I tried not to show. At any rate, I didn’t know whether she really meant it.

“Why would you say that?”

“Because…” And she began her tale.

I was worried. Sia used to be so confident about everything and anything. Six months into school, her self-esteem seems to have plummeted. She told me that she’s the only one who can’t read yet. Her teacher told me that there’s a group of few students, and she’s hardly the only one, but she must have felt bad about it. She was also self-conscious about her writing skills—or lack thereof. She doesn’t know how to write all the abc’s yet. She went on how she was no good at art and how forgetful she is and leaves things behind all the time, and so on.

Many counter arguments popped in my head, but I wanted her to feel heard. I listened. Then I gave her a big hug.

“I can see that you are worried about some things and that you feel like you may not be good at anything. But remember. No one is perfect. We’re all learning. And nobody is good at everything from the get go. You may not have figured it out yet, but you’re learning and trying. And that’s what matters.”

She didn’t seem convinced. Then I told her that I had a million reasons to love her. I told her I’d list thirty of them on the spot. And I did.

Sia seemed to relent a little after I listed all thirty reasons. To a much happier little girl, I added:

“Don’t you ever forget that you’re smart, kind, and important. (I borrowed these from The Help.) You see, there are so many reasons to love you. Don’t you forget that. I want you to love yourself first, even more than mommy and daddy. That’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fe: To love yourself. Unconditionally.”

Easier said than done. Now it’s time for me to walk the walk.

0

잠도 능력…?

“수면이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그 사람의 ‘능력’ 입니다. 학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여성의 불면증 유병률이 남성의 1.5배라고 봅니다. 그만큼 여성이 남성보다 휴식을 취하기 어렵고, 긴장 상태에 놓여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눈길을 끌었다. “원래 애는 엄마 갈아넣어 키운다? 여성의 불면, 수면 위로 올릴 때”에서 본 문장이었다. 수면조차 ‘능력’으로 치환하는 문장이 서글프다가도, 실제로 삶의 가장 중요한 능력이다 싶어 고개를 끄덕인다.

나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능력이 많이 떨어진다. 꿈도 많이 꾸고 잠귀도 예민하다. 깊이 잠을 못 자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수면 시간이 담보되어야만 한다.

올해 목표 중 하나는 새벽 1시 전에 자기인데 여태 한 두어 번 정도 지켰으려나?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요인이 있기에 아마 당분간은 계속 지키기 힘들 것 같다. 늦게 자서인지 이런저런 시름이 많아서인지 요새는 더 잠을 잘 자기 힘들다.

“”육아는 육체뿐 아니라 정신적인 행위에요. 저만해도 머릿 속에 여러 개의 서랍을 만들어요. 아이에게 뭐가 필요한지, 교체해야 하는 생필품은 없는지, 빨리 해치워야 집안일은 무엇인지 끊임없이 생각해요. 마치관리자처럼요. 잠들기 위해서는 잡념을 멈춰야 하는데, 생각할 거리가 끝없이 생겨나는 거죠.” ‘엄마는 잠을 희생하더라도 아이를 돌봐야 한다 사회적 압력(사회), 출산 자체가 몰고오는 내면의 변화(심리) 종합적으로 작용해 여성의 밤을 길고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이다.”

여러 개의 서랍으로 내 삶을 나누는 행위는, 축복이자 저주 같다. 그렇게 나누지 않으면 버틸 수 없을 것 같기도 하고, 그렇게 나뉜 내 조각들이 어느 순간 산산이 흩어질 것 같기도 하다.

어제는 오랜만에 혼자 와인을 마시고 그나마 일찍 곯아 떨어졌다. 딸이 우리 방으로 넘어와 엎치락뒤치락, 악몽 꾸고 울기, 잠꼬대, (남편과) 이불 갖고 싸우기, 몸에 엉겨붙기, 팔 베고 자기 등으로 특별히 더 잠을 설쳤다. 그래서 오늘은 딸을 보내고 열 일 제쳐두고 잠시 명상을 하다(라고 하기엔 틀어놓고 스르르) 아침잠을 잤다. 남편은 일하고 아이는 학교에 가 있어 아무도 방해하지 않는 나의 꿀잠 시간…

길고 어두운 시간을 버티게 해주는 건, 그런 사소한 달콤한 순간들이다. 그런 달콤함을 모은 서랍에 기대 하루를 버틴다. 다음 네이버를 오가며 웹툰을 보며 킬킬댄다든가 벌써 세 번째로 해리포터 오디오북을 듣는다든가. 오래 전 보다 만 모던패밀리를 보며 설거지를 한다든가. (이모티콘도 살까 싶었는데 알게 모르게 승인 거부 받은 앙금이 남았는지(?) 아님 이제 정말 한계치인지 이번엔 사지 않았다.)

됐고… 오늘은 좀 일찍 자봐야겠다.

0

The Tooth Fairy’s First Visit

My baby lost her first tooth today. Wow.

It was a few days ago before our trip when my husband noticed that S’s permanent tooth started to grow. Still, her baby tooth wasn’t loose. Not even a little. I tried jiggling it a little, but it wouldn’t budge.

I asked the family dentist, and she scheduled S in for today. And tada!

I had to wait for a delivery so I didn’t go to the dentist with her. My husband told me that she was very brave and didn’t cry at all. She was quite proud to tell me so herself.

Cheese

As for the tooth fairy, I’m still puzzled. I did search for the going rate for the tooth fairy nowadays, and I still haven’t decided on the amount. I’m not sure whether the tooth fairy only visits the very same day that a child loses her tooth. Actually, tooth fairy is a very new concept for me and my husband. My husband and I are also debating whether we, I mean the tooth fairy, should give her cash or some reward stars that we’ve been handing out to S with her reward chart.

This feels like a huge milestone—almost as important when her first tooth came out. I don’t know whether I’m glad or sad. I guess bittersweet might be the word I’m looking for.

0

비 오는 날 미술교실

윤하의 빗소리

비가 오면 듣는 가끔 생각나 찾아 듣는 노래들이 몇 개 있다. 이 노래도 그중 하나. 윤하의 빗소리. 일단 이렇게 bgm을 좀 깔고… 오늘부터 비가 쭉 온다는데… 캘리포니아의 가뭄을 좀 해소해 주려나.

올해 미술 교실 봉사를 마쳤다. 담임 선생님이랑 미술 봉사자 전체 대표에게 선물을 받았다. 뜻밖의 선물을 받고 수고했다 토닥여주는 것만 같아서 참 기뻤다.

캘리포니아 공립학교는 예산이 부족하여 예체능 수업이 많지 않다고 한다. 시아가 다니는 학교에서도 미술 교실을 전학년 부모 자원 봉사자가 진행한다. 미술을 잘 하지는 못하지만, (미술 작품 감상을) 좋아한다. 작년부터 이 반을 맡은 봉사자가 있다고 해서 보조만 해도 좋을 것 같다고 해서 덜컥 자원했다가 월요일마다 1~2시간 반 정도를 봉사하게 되었다.

수업은 한 화가의 작품과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배우고 그 다음 주에는 관련 프로젝트를 하는 식으로 이어진다. 아직 내가 단독으로 수업을 진행한 적은 없다. 여태까지는 보조만 했는데 K/1인데도 나름 커리큘럼이 나쁘지 않다. 전문 미술 교사가 아니라 학부모가 진행한다는 것만 빼면, 참 좋은 것 같기도 하다. 얼마 전에는 아이들이 조르주 쇠라와 점묘화에 대해 배우기도 했다. (‘점묘화 pointillism’를 나는 언제 알게 됐더라?)

마침 클로드 모네의 ‘일본식 다리와 수련 연못’이 작품 목록에 있어서 모네 수업은 내가 하겠노라고 했다. 이번 동부 여행에서 감상한 모네의 작품. (링크는 여기) 올해 동부 여행 때 봤던 것중에도 손꼽아 좋아했던 작품이다. (책에 나온 버전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있는 버전인 것 같지만. 모네는 연작을 많이 해서 조금씩 다른 버전의 그림을 찾아보는 재미가 있다.)

미술 교실을 하면서 S가 어떻게 학교에 적응하는지 지켜본 것도 나름 수확이다. 오늘은 아프리카 마스크를 만드는 프로젝트였다. S는 워낙 꼼꼼한 편이라… 느리다. 그래서 도움을 좀 필요로 한다. 그러다 보니 계속 엄마를 불러대지만, 지금은 선생님으로 있는 거니까 너만 봐줄 수 없다고 돌아선다. 그러다 마음이 쓰여서 종종 아이가 있는 테이블로 가게 된다. 오늘도 그랬다. 오늘은 그래도 꽤 집중해서 빨리 끝내는 걸 보니 마음이 놓였다. 평소에는…

두어 달이 지나다 보니 이제는 아이들이 나를 보고 반갑게 인사하며 Ms. Jiyoon! 이라고 외친다. S 엄마라고 하면서 저쪽에서부터 달려와서 아는 척하거나 자기 물건을 자랑하기도 하고. 구김살 없는 아이들을 보면 참 귀엽다. 오늘은 자기 이름을 어떻게 아냐고 물어보기도 했다. (외웠지, 뭘 어떻게 아니 ㅋㅋ 이 아줌마가 이름이랑 얼굴을 좀 잘 외는 편이거든.)

내 꺼 봐달라고 해맑게 웃는 아이들을 보면 너무 귀엽다. 이거 어떻게 하냐고 적극적으로 물어보는 아이들도 있고 조용히 가만히 알아서 하는 애들도 있고 어찌할 바를 모르지만 가만히 있는 애들도 있다. 이렇게 많은 아이들을 보다 보면, 정말 아이는(사람은) 누구나 다르다는 사실을 체감하게 된다. 그렇게 제각각의 개성을 담아 아이들은 마스크를 완성한다. 비록 코를 완전히 잘라 버리긴 했지만, S도 마스크를 제 시간 안에 완성했다. 완벽하게 자기 마음에 들어야 해서 느리지만 꼼꼼하고 깔끔하고, 자기 주장이 뚜렷하여 고집이 좀 세기도 하고, 외향적인 동시에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나의 예쁜 아이. 그 아이의 (그리고 나의) 기질에 맞게 함께 잘 살아보는 것,이 나의 새로운 숙제다. (물론 쉽진 않다. 오늘도 후아…할많하않… 하긴 인생에 쉬운 게 어디 있나.)

오늘 완성한 마스크를 쓰고 전체샷! 귀요미들 아닌가요? 🙂
0

The Chair

At least five people had recommended The Chair to me. The reason was that the name of the protagonist, beautifully portrayed by none other than Sandra Oh, was the same as mine. This was not surprising. While my name is not as popular as Ji-young, which happens to be the name of the newly introduced Korean American character on Sesame Street, it is actually a pretty common name in Korea.

I finally watched it. And I love it. From the opening music of Vivaldi with the montage of the campus of a fictional prestigious Pembroke University, to the very end with the Oxford Comma by Vampire Weekend and the conversation of Bill and Ji-Yoon, the show was captivating. The only complaint that I have about The Chair is that it is too short.

Some of the reviews that I’ve found online share my views. Some examples are: Sophie Gilbert’s article on Atlantic, “The Chair Is Netflix’s Best Drama in Years” and Mikel J. Davies’s review on The Harvard Crimson, “‘The Chair’ is the Latest Netflix Miniseries That Ends Too Soon.”

I may be going too fast. Let me go back a little.

Ji-Yoon, a Korean American English professor at Pembroke University, is a single mother, a tenured professor, and the newly appointed chair of the English department at the fictional lower-tier Ivy-League University. From the very first episode, she realizes that her job may not be the career peak that she has long desired, but that she has just become “FUCKER IN CHARGE OF YOU FUCKING FUCKS,” just like her nameplate for her desk that was gifted to her. Chuckling a little, she sits in her chair, which breaks, “unable to support the weight of a little Korean lady,” as Bill, her colleague and friend who may have had some kind of romantic history, later notes.

I was pleasantly surprised how the writers portrayed Ji-yoon’s Korean culture in the series. Doljabi, the first birthday celebration tradition is accurately portrayed, even the adults “rigging the baby’s choice,” to quote Bill, who was dragged to Ji-Yoon’s cousin’s baby’s first birthday by Ju Ju, Ji-yoon’s adopted Latina daughter.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here is unusual, to say the least, and refreshingly so. Ji-Yoon, after breaking up with a long-time boyfriend who moved to another State, had adopted her daughter Ju Ju and raises her with the help of her elderly dad.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i-Yoon and her daughter seems fraught with anxiety and conflict, there are some scenes that show that Ju Ju does love Ji-Yoon. Ju Ju, who celebrates Dia de los Muertos to honor her birth heritage, sets up an altar for Ji-Yoon’s deceased mother, Ju Hee. While Ji-Yoon’s daughter doesn’t like her name Ju Hee, she seems to accept and even like that she was named after her grandmother.

There was this other scene when Ji-Yoon cries in front of her child when her dad scolds her in Korean to not cry in front of the child because it might scare her. In reply to this, Ju Ju says “나 안 무서워(I’m not scared),” and she gives her mother a hug. This is so endearing because in the previous episodes, Ji-Yoon’s father, who stubbornly speaks Korean to Ji-Yoon and Ju Ju, had told Ji-Yoon that it’s not easy to look after Ju Ju because she doesn’t understand Korean, to which Ji-Yoon protests that Ju Ju understands more than he thinks.

Well, enough spoiler. I wholeheartedly recommend this show. You should give it a try.

0

하루의 끝에 너

아이스크림 하나면 세상을 다 가진 것 같은 너.

(코스트코는 사랑입니다)

느리지만 꼼꼼하게 나아가는 너.

(미술 교실 봉사를 가는 엄마의 특혜랄까…)

점프샷에 진심인 (것도 나를 닮은) 너.

(한 번 더!)

하루하루를 반짝이는 별들로 채워가는 너.

(이번 주는 비록 전멸에 가깝지만)

이제 좀 할 만하다 싶다고 생각하면서 으쓱하면 귀신같이 알아채고 ‘육아 못 해 먹겠다’ 골짜기로 나를 내동댕이쳐주는 너. 그러면서도 나를 가만히 안아주며 I love you oh so much! 를 외치는 너. (밀당의 귀재인 거냐.)

그 모든 모습에도 불구하고, 아니 그 모든 모습을 담은 너라는 사람이, 나는 참 좋아.

그런 너가 있어 오늘도 좋았어.

언젠가 붙여준 스티커 (그린 라잇?! ㅋㅋ)

Good night, my lovely lady.

0

콩순이를 듣다가

콩순이는 딸의 애청 오디오 콘텐츠다. 작년 코로나 락다운을 견디게 해 준 일등공신이다. 영상을 계속 보여주기는 좀 그렇고 집안일이나 나도 숨 좀 돌리자 싶을 때 네이버 오디오클립의 ‘콩순이 일기’를 들려줬다. 유치원에 가지 않았던 2달 반 동안, 어찌나 많이 들었는지 모른다. 그맘때 한국어가 확 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요새도 딸은 심심찮게 콩순이를 듣는다. 정작 애니메이션은 며칠 전에야 처음 보다가 말았다. 전직 라디오 피디 딸 아니랄까 봐, 오디오 드라마를 더 선호하는 듯하다. 참고로 ‘콩순이의 일기’는 새로 업데이트되는 콘텐츠가 아니라 좀 아쉽지만, 아이들에게 들려주기 좋다. 특히 한국어 학습을 고민하지만 동영상은 별로 안 보여주고 싶은 부모님들께 추천할 만하다. 성우분들의 열연이 돋보인다. 오디오 드라마 특유의 몰입감도 있고, 다른 걸 하면서 심심풀이 땅콩으로 들어도 된다는 장점도 있다.

‘콩순이의 일기’에서 걸리는 부분이 없는 건 아니다. 한 에피소드에서 콩순이는 엄마 이름을 찾아 헤맨다. 콕 집어서 콩순이만 엄마 이름을 모르는 것도 아니고, 같이 등장하는 송이, 밤이 모두 엄마 이름을 모른다. 심지어 밤이는 자기 엄마 이름이 “*밤이 엄마!”라고 자랑스럽게 외치기까지 한다. (콩순이는 유치원을 다니는 설정으로 아는데… 아니 저기요… 아무리 유치원 아이에게… 엄마 이름 정도는 좀… 알려주지 않나요? ) 콩순이가 엄마 이름을 몰라 사람마다 다르게 부르는 호칭을 엄마의 이름으로 헷갈려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김숙모? 김애미? 이런 식이다.

엄마의 이름이 사라지는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이를 비판하는 건가 싶다가도 이름이 사라지려면 집에 오면 자기만 하는 수의사 아빠 이름을 모르는 쪽이 훨씬 더 개연성 있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여러 모로 조금 무리수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기 본래 이름보다는 **네 엄마라고 불리는 것을 너무나도 당연시하는 문화. 어떻게 보면 딱히 여성과 관련되었다기보다는 그냥 본인과 더 가까운 관계를 중심으로 호칭을 하는 한국 문화의 특성인 것도 같다. 그렇지만 나는 **의 **로 규정되는 것이 한결같이 싫다. 어렸을 때는 **네 딸이라고 하는 말이 싫었고, 지금도 **네 엄마보다는 **라고 이름을 불러주는 쪽을 선호한다. 외국인들이야 만나면 **네 엄마라고 부르지 않고 서로의 이름을 부르니 상관없지만, 여기서 만나는 한국 사람들은 좀 애매하다. 딸 친구 엄마(아빠)들도 되도록이면 이름을 여쭤보고 호칭도 **네 엄마보다는 **씨, ** 언니 등으로 하려고 한다. (그건 또 그거대로 불편해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

이 얘기를 하려던 게 아닌데… 왜 이렇게 ‘이름’으로 얘기가 샜지.

오늘의 본론!

오늘도 딸을 씻기면서 ‘콩순이의 일기’를 들었다.

동화작가 엄마는 출판사와 중요한 미팅이 있어서 나가고, 아빠가 일찍 와서 콩순이와 콩콩이를 돌본다.

아빠가 콩순이에게 수수께끼를 낸다.

“먹어도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은 것은?”

알쏭달쏭한 표정을 짓는 우리 따님, 이 에피소드도 여러 번 들어서 답을 모르지 않을 터인데 어느새 진심으로 물음에 답하고 있다. 그 답이란 바로…

“나?”

그렇지 않아도 오늘 연어 채소구이를 많이 먹어서 그렇지 않아도 볼록한 배가 유난히 눈에 띈다. 볼록한 배를 두들기며 “먹어도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는 나”라고 고백하는 우리 푸우 양. 오늘도 덕분에 크게 웃는다.

(아, 궁금할 분들을 위해 위 수수께끼의 답을 공개하자면… 바로 ‘공기’다.)

0

따뜻하게 해 줄게

박스에 넣어두었던 겨울 옷을 꺼내면서 혹시 그새 작아진 옷 있나 보려고 아이에게 옷을 입혀 보았다. 작년에 분명 많이 컸던 옷들이 딱 맞거나 약간 작아져 있었다. 아니, 옷은 그대로인데 사람이 컸겠지.

그렇다. 정말 훌쩍 컸다. 접어야만 했던 바짓단이 이제는 깡충 발목이 드러난다.

“엄마, 추워.”

훌쩍 큰 그 아기가 옷을 훌러덩 벗더니 춥다며 내 품으로 파고들었다. 꼭 안아서 겨울 잠바 등으로 꽁꽁 싸매주니 따뜻하다고 헤 웃는다.

“엄마가 잠바로 따뜻하게 해줄게. 이제 따뜻하지?”

“응. 따뜻해.”

몸을 자꾸 부벼대더니 나를 꼭 끌어안고 얼굴을 가슴팍에 묻으면서 하는 말.

“내가 엄마도 따뜻하게 해줄게.”

그렇게 한참을 안고 있었다. 이제 일어날까? 물어보니 조금 더 안고 있자고 해서 아예 타이머를 맞추고 10분을 더 안고 있었다. 꼭 붙어 안고 둘이 가만히 함께 숨도 크게 쉬고 내쉬고 조용조용 이야기를 하며 보냈다. 아비정전에서의 1분이 생각났다. 오늘의 이 소중한 10분도 이미 과거가 되었으니 지울 수 없이 소중하게 남아 있겠지.

나를 따뜻하게 해 준다는 나의 따뜻한 아이. 오늘도 꼭 껴안고 “엄마 아빠에게 와줘서 고마워.”라고 가만히 말해준다.

요새는 아이가 크는 게 아깝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어느 새 아기 티가 가셔버린 얼굴. 별이가 코를 찡긋하고 티 없이 맑게 웃을 때면, 나도 가슴이 벅차온다. 집, 경제 상황, 커리어 등 이런저런 일들로 초조하고 속상하다가도 지금 우리가 함께 보내는 이 시간의 고요한 반짝임만으로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따뜻하게 해 줘서 고마워.

0

머리카락과 뿔

며칠 전, 한국학교 숙제 중에 엄마 아빠 한 명의 얼굴을 과일과 채소로 표현하는 게 있었다. 시아는 내 얼굴을 만들겠다고 했다.

짜잔!

내 얼굴이라는데… 음? 나의 동공지진이 반영된 흔들린 사진 ㅋㅋ

보자마자 “엄마가 왜 뿔이 났어?”라고 물어봤더니 뿔이 아니라 머리카락이라고 한다. 살짝 안도의 안숨을 내쉬었다. (요새 화를 많이 낸 거 같긴 하니…)

이 그림을 완성한 날 엄마와 이모랑 영상통화를 하는데 시아가 “엄마 얼굴 만들었어요!”라고 자랑했다. 둘 다 어김없이 “엄마 머리에 왜 뿔이 났어?”라고 물었다. 그런 거 아니라고, 저게 머리카락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런 줄만 알았다.

오늘, 플레이데이트에 또 늦어서 (느림보 산만 모드 이시아님 때문에 나의 속은 또다시 문드러지고) 서둘러 나서며 시아에게 물었다. “시아야. 시아는 늦게 가는 게 좋아? 아니면 엄마가 화내는 게 좋아? 왜 그렇게 엄마가 한 번 말을 하면 안 듣는 거야? 왜 자꾸 엄마가 화를 내는 거 같아?”

“엄마, 시아는 엄마가 왜 자꾸 더 화를 내는지 매일매일 생각하는데 잘 모르겠어.”

두두둥.

그래. 나도 요새 좀 소리를 지르는 빈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했는데… 그렇구나. 너도 그걸 고민하고 있었구나. 엄마를 ‘화내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는 게 조금 충격이었지만, 내 행동을 돌아본다.

“이러면 두고 간다”는 협박은 훈육할 때 절대 하지 말라고 몇 번 본 것 같은데, 요새 나의 단골멘트인 것 같다. 이러면 (주로 이렇게 느리게 행동하면, 이렇게 말을 안 들으면) “엄마가 같이 갈 수 없고 그냥 두고 가야 될 거 같아. 잘 있어!”라는 말. 분리불안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꽤나 껌딱지였던 시아에게는 더욱 최악의 말이었을 텐데…

…그래. 반성한다. 고추로 만든 머리카락(?)이 실은 뿔이 맞았나 보다.

물론, 그렇다고 내가 할 말이 없는 건 아니다. 엄마도 사람이다. 그리고 나야 뭐 성격이 급하다고 치자. (그래도 그렇게 아무에게나 소리지르는 그런 사람은 아닙니다만…) 남편도 만만치 않다. 10년 넘는 결혼생활과 5년의 연애, 7년 그냥 알고 지냈던 기간까지 지금껏 내게 소리를 지른 건 한 번 정도? 그런 사람이 시아에게는 사나흘이 멀다 하고 소리지른다. 그나저나 남편이 나보고 시아에게 너무 무르다고 했는데, 오늘 시아에게 물어본 결과, 엄마가 아빠보다 무섭단다. (보고 있나 남편?)

사실 소리를 지르는 것도 습관일 테다. 나도 조금 느슨해진 것 같기도 하다. 시아가 세 살 될 때까지 한 번 소리를 지를까 말까 했었는데… 이게 어느 순간 고삐가 풀리고 한 번 지르기 시작하니 한 번이 두 번 되고, 두 번이 세 번 되고, 이제 약간만 애가 어긋난다 싶어도 사자후가 절로 나온다.

이제 여러 번 말해도 모른 척하는 미운 징징이 우리딸 말고 한 번만 말해도 말 잘 듣는 “말 잘 듣는 이쁜이 우리딸” 하기로 했다. 속는 셈치고 한 번 믿어 봐야지. 나도 뿔 달린 엄마 소리지르는 엄마 말고 온화한 미소로 차분히 타이르는 엄마가……되어야겠다. (되어야겠지? 될 수 있을까?를 쓰고 지우고 쓰고 지우다 결심을 한다. 그래. 결심했어!)

말보다는 행동으로 보여주는 엄마가 되어야지. 잊지 말고 되뇌본다. 쟤는 다섯 살… 너는…… 40여년 살아온 네가 쟤랑 똑같아지면 안 되지 않겠니?